고베 전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베 전철은 1926년 고베 아리마 전기 철도로 설립되어, 현재 효고현을 중심으로 철도 노선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아리마 선, 산다 선, 아오 선, 고엔도시 선, 고베 고속선을 포함한 노선을 운영하며, 1인 승무 시스템과 다양한 열차 종별을 갖추고 있다. 험난한 구배에 대응하는 차량과 주철 슈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2023년에는 미라이 비전 2030을 발표하여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부동산 사업, 요양 서비스, 보육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버스 사업도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베시의 기업 - 고베 신교통
고베 신교통은 고베항 인공섬과 본토를 잇는 자동 안내 궤도식 여객 수송 시스템(AGT) 운영 기관으로, 일본 최초의 실용적인 신교통 시스템이자 세계 최초의 자동 무인 운전 시스템을 도입했으나, 과거 경영 문제도 있었으며 현재는 두 개의 AGT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고베시의 기업 - 시스멕스
시스멕스는 혈액 분석, 요검사 등 진단 시스템을 개발, 제조, 판매하며 일본 고베에 본사를 두고 전 세계에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 1926년 설립된 기업 - 고디바
고디바는 1926년 벨기에에서 시작된 프리미엄 초콜릿 브랜드로,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하여 여러 차례 인수합병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제품을 전 세계 매장과 온라인에서 판매하며 사회공헌 활동과 함께 아동 노동 및 제품 안전성 관련 논란도 겪고 있다. - 1926년 설립된 기업 - 맥킨지 & 컴퍼니
맥킨지 & 컴퍼니는 1926년 제임스 O. 맥킨지가 설립한 세계적인 경영 컨설팅 회사로, 회계 자문에서 시작하여 현대적인 컨설팅 방식으로 발전했지만, 여러 스캔들과 논란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한큐 한신 홀딩스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한큐 한신 홀딩스 - 한신 타이거스
한신 타이거스는 1935년 창단된 일본 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소속 구단으로, 센트럴 리그 6회, 일본 시리즈 2회 우승에 빛나며, 간사이 지역의 인기, 독특한 구단 디자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라이벌리, '롯코오로시' 응원가 등으로 유명하다.
고베 전철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고베 전철 주식회사 |
영문 회사명 | Kobe Electric Railway Co.,Ltd. |
![]() | |
![]() | |
약칭 | 신테쓰(しんてつ), 신테쓰 전차 |
종류 | 주식회사 |
기관 설계 | 감사역회 설치 회사 |
시장 정보 | 동증 프라임 (9046, 2013년 7월 16일) 대증 1부 (9046, 1949년 6월 21일 ~ 2013년 7월 12일) |
본사 우편번호 | 652-0811 |
본사 위치 | 고베시효고구신카이치 1초메 3번 24호 |
설립일 | 1926년 (다이쇼 15년) 3월 27일 (고베 아리마 전기 철도 주식회사) |
업종 | 5050 |
사업 내용 | 여객 철도 사업 토지 건물 임대 사업 토지 건물 판매 사업 발전 사업 매전 사업 개호 서비스 사업 보육 서비스 사업 수영장 사업 빈집 등 관리 서비스 사업 |
대표자 | 대표이사 회장: 데라다 노부히코 대표이사 사장: 이나미 히로시 |
자본금 | 117억 1000만 엔 (2023년 3월 31일 현재) |
발행 주식 총수 | 806만 1566주 (2023년 3월 31일 현재) |
매출액 | 연결: 213억 2100만 엔 (2023년 3월기) 단독: 121억 1700만 엔 (2023년 3월기) |
영업이익 | 연결: 13억 9100만 엔 (2023년 3월기) 단독: 10억 8900만 엔 (2023년 3월기) |
경상이익 | 연결: 9억 9800만 엔 (2023년 3월기) 단독: 8억 3900만 엔 (2023년 3월기) |
순이익 | 연결: 6억 7600만 엔 (2023년 3월기) 단독: 6억 2800만 엔 (2023년 3월기) |
순자산 | 연결: 212억 4300만 엔 (2023년 3월 31일 현재) 단독: 203억 2700만 엔 (2023년 3월 31일 현재) |
총자산 | 연결: 908억 400만 엔 (2023년 3월 31일 현재) 단독: 883억 600만 엔 (2023년 3월 31일 현재) |
종업원 수 | 연결: 872명 (2023년 3월 31일 현재) 단독: 518명 (2023년 3월 31일 현재) |
결산기 | 3월 31일 |
회계 감사인 | 유한책임 아즈사 감사법인 |
주요 주주 | 한큐 한신 홀딩스 27.32% 일본마스터트러스트신탁은행 (신탁구) 5.43%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3.91% 일본커스터디은행 (신탁구4) 1.34% 미나토 은행 1.04% SMBC닛코증권 0.97% 한큐 전철 0.97% 일본커스터디은행 (신탁구) 0.65% 미쓰이스미토모 신탁은행 0.59% 미쓰비시UFJ신탁은행 0.52% (2023년 3월 31일 현재) |
주요 자회사 | 고베 전철 그룹 참조 |
관계 인물 | 야마와키 노부키치(창업자) 데라다 노부히코(회장) 이나미 히로시(사장) 하라 야스요시(전 사장) 와다 카오루(전 회장) 모리 카오루(전 회장) 나카다 다이사부로(전 사장) 이치혼마쓰 야스오(전 사장) 오쿠타니 다케히코(전 사장) 아케마쓰 료이치(전 사장) 하라다 겐지(전 사장) 스기야마 다케히로(전 사장) 쓰야마 히로아키(이사) |
외부 링크 | 고베 전철 공식 웹사이트 |
특기 사항 | 한큐 한신 홀딩스의 지분법 적용 회사 |
2. 역사
1926년 3월 27일 '''고베 아리마 전기 철도'''로 설립된 고베 전철은[5] 여러 차례 회사명을 변경하고 노선을 확장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초기에는 '''신유(神有) 전차'''라고도 불렸으며, 당시 사장(社章)은 전기를 상징하는 번개 모양 안에 '신유' 두 글자를 새긴 디자인이었다.[36] 1949년 현재 사용 중인 사장으로 변경되었는데,[37] 이는 "고베시를 남북으로 종관하는 철도"를 나타낸다.[38]
1970년대에는 철도 노선 주변 주택가를 "고요한 하늘·푸른 하늘"이라고 표현하며 적극적인 경영을 펼쳤고,[61] 이 표현은 1990년대까지 광고 등에 사용되었다.
고베 전철은 한신·아와지 대지진, 탈선 사고, 화재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한 복구와 현대화를 통해 극복해왔다.
2. 1. 설립 초기 (1920년대 ~ 1940년대)
1926년 3월 27일, '''고베 아리마 전기 철도'''로 설립되었다.[5][16] 1928년 7월 30일에는 버스 영업을 시작했고,[16] 같은 해 11월 28일에는 아리마 선을,[16][17] 12월 18일에는 산다 선을 각각 개통했다.[16][18]1936년 6월 29일에는 미키 전기 철도가 설립되었고,[16] 1943년 8월 31일에는 직영 버스 사업을 신키 합동 자동차(신키 버스의 전신)에 양도했다. 1945년 11월 8일에는 아리마 선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5]
1947년 1월 9일, 미키 전기 철도를 합병하여 '''카미아리 미키 전기 철도'''로 회사명을 변경했다.[16] 이후 1949년 4월 30일, '''고베 전기 철도'''로 다시 회사명을 바꾸었다.[16] 같은 해 10월 1일에는 버스 사업을 다시 시작했다.
2. 2. 회사명 변경 및 노선 확장 (1940년대 ~ 1990년대)
1943년 8월 31일, 직영 버스 사업을 신키 합동 자동차(신키 버스의 전신)에 양도하였다.[16] 1945년 11월 8일에는 아리마 선 다카토리도 역(당시) - 나가타 역 구간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16]1947년 1월 9일, 미키 전기 철도를 합병하여 '''가미아리 미키 전기 철도'''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16] 이후 1949년 4월 30일에는 '''고베 전기 철도'''로 회사명을 다시 변경하였다.[16] 같은 해 10월 1일에는 버스 사업 면허를 새롭게 얻어 사업을 재개하였다.[16]
1952년 4월 10일, 아오 선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16] 1968년 4월 7일에는 고베 고속 철도로 노선 연장을 시작했다.[20]
1988년 4월 1일, 회사명을 '''고베 전철'''로 변경하였다.[21] 1991년 10월 28일에는 고엔도시 선이 개통되었다.[22]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24]
2. 3. 지진 피해 및 복구, 현대화 (1990년대 ~ 현재)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고베 전철은 큰 피해를 입었다.[24] 같은 해 5월 1일, 본사를 고베시 효고구 신카이치에서 기타구로 이전했다.[13]1998년 9월 30일, 버스 부문을 신테쓰버스에 분사했고,[21] 1999년 10월 1일, 공통 승차 카드 시스템 스루ッとKANSAI에 가맹했다.[16]
2006년 1월 22일, 아리마구치역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고, 2월 3일에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구식 포인트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16]
2007년 4월 1일, IC카드 PiTaPa를 도입했고,[16] 같은 해 9월 1일부터 PiTaPa IC 정기 서비스에 대응하기 시작했다.[16]
2013년 5월 28일, 아리마구치역에서 다시 탈선 사고가 발생했는데, 이번에는 포인트 형태가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2018년 3월 4일, 인근 화재로 아오 선 미키역 하행 홈 측 역사가 전소되었다.[30][31] 2022년 3월 28일, 재건된 미키역 하행 홈 측 역사가 사용을 개시했다.[35]
2020년 6월 1일, 철도 사업 본부 내에 호쿠신 영업부를 신설하고, 고베시 교통국으로부터 호쿠신 선 운행 업무를 수탁받아 운영하기 시작했다.[32][33]
고베 전철은 '미래 비전 2030' 달성을 위해 2023년 5월에 '중기 경영 계획 2026'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코로나19 팬데믹(코로나화)으로 인해 감소한 수익력을 회복하고, 재무 건전성을 발전시키며,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3. 노선
노선명 | 구간 | 거리(km) | 비고 |
---|---|---|---|
아리마 선 | 미나토가와 - 아리마온천 | 22.5 | |
산다 선 | 아리마구치 - 산다 | 12.0 | |
아오 선 | 스즈란다이 - 아오 | 29.2 | |
고엔도시 선 | 요코야마 - 우디타운추오 | 5.5 | |
고베 고속선 | 신카이치 - 미나토가와 | 0.4 | 고베 신교통이 선로 소유, 고베 전철이 열차 운행 |
모든 노선의 역 번호는
4. 차량
고베 전철의 차량은 험난한 구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모든 영업용 차량은 저속에서 높은 감속 성능과 기후 변화에 강한 주철 슈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정차 시 독특한 소리와 높은 감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일부 부수차 제외). 또한, 모든 영업용 차량에는 억속 브레이크가 3넛치 이상 탑재되어 있고, 비상 제동 시 공기 브레이크 고장을 대비해 모터를 한계까지 사용, 정차 직전까지 감속할 수 있는 장치가 5000계와 6000계를 제외한 영업용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직통 예비 브레이크는 전 차량에 장비).[43]
모회사인 한큐 전철과 달리 대부분의 차량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되었으며, 개업 초기부터 전동기 등은 미쓰비시 전기 제품으로 통일되었다. 1973년 이후 제조된 3000계(1000번대 차량은 1979년 데1350형부터)는 마호가니조 내장과 짙은 올리브색 좌석 모켓을 채용하고 있다. 현재는 4량 편성이 주를 이루며, 2008년 4월 기준 1050형 2량(데1062·1064)과 1070형 3량(데1071 - 1073)이 비냉방 상태로 남아있다.
2008년 6월 4일, 신형 차량인 6000계(1편성 4량)의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한큐 전철과 마찬가지로 차량 신조를 '건조'라고 표현한다.
4. 1. 현재 보유 차량
고베 전철의 모든 차량은 험난한 구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영업용 차량은 많은 사철에서 사용되는 레진슈가 아닌 저속에서의 높은 감속 성능과 기후 변화에 강한 주철 슈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정차 시 독특한 소리와 함께 높은 감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일부 부수차 제외). 억속 브레이크도 모든 영업용 차량에 3넛치 이상 탑재되어 있으며, 비상 제동 시 공기 브레이크가 고장나 사용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해 모터를 한계까지 사용하여 정차 직전까지 감속할 수 있는 독특한 장치를 5000계와 6000계를 제외한 영업용 차량이 갖추고 있다(직통 예비 브레이크는 이들 계열을 포함한 모든 차량에 장비).모회사인 한큐 전철과 달리, 대부분의 차량이 현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되었다. 또한, 개업 초기부터 전동기 등은 미쓰비시 전기 제품으로 통일되었다. 1973년 이후 제조된 3000계 차량(1000번대 차량은 1979년 제조된 데1350형부터)은 마호가니조 내장과 짙은 올리브색 좌석 모켓을 채용하고 있다. 현재 편성은 4량이 주를 이룬다. 냉방화율은 아직 100%가 되지 않아, 2008년 4월 기준으로 1050형 2량(데1062·1064)과 1070형 3량(데1071 - 1073)이 비냉방 상태로 남아 있다.
2008년 6월 4일, 신형 차량인 6000계(1편성 4량)의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한큐 전철과 마찬가지로 차량을 새로 만드는 것을 '건조'라고 표현한다.
- 6500계
- 6000계
- 5000계


- 데1100형・사1200형・데1150형・사1250형・1500형・1600형(1100계)
- 데1070형(1000계)
4. 2. 특징
고베 전철의 차량은 험난한 구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 영업 차량은 많은 사철에서 사용되는 레진슈가 아닌, 저속에서의 높은 감속 성능과 기후 변화에 강한 주철 슈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정차 시에는 독특한 소리와 높은 감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일부 부수차 제외). 억속 브레이크도 전 영업 차량에 3넛치 이상 탑재되어 있으며, 비상 제동 시 공기 브레이크가 고장나 사용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해 모터를 한계까지 사용하여 정차 직전까지 감속할 수 있는 독특한 장치를 5000계와 6000계를 제외한 영업 차량이 장비하고 있다(직통 예비 브레이크는 이들 계열을 포함한 전 차량에 장비).모회사인 한큐 전철과 달리, 대부분의 차량이 현지의 가와사키 중공업제이다. 또한, 개업 초기부터 전동기 등은 미쓰비시 전기제로 통일되어 있다. 1973년 이후에 제조된 차량(1000번대 차량은 1979년제 데1350형부터)은 마호가니조의 내장이나 농올리브색의 좌석 모켓을 채용하고 있다. 현재 편성은 4량이 주를 이룬다. 냉방화율은 아직 100%가 되지 않았으며, 2008년 4월 기준으로 1050형 2량(데1062·1064)과 1070형 3량(데1071 - 1073)이 비냉방 상태로 남아 있다.
2008년 6월 4일에는 신형 차량(6000계 1편성 4량)의 영업이 개시되었다.
한큐 전철과 마찬가지로 차량을 신조하는 것을 '건조'라고 표현한다.
4. 3. 과거 보유 차량
- 데1형
- 데니11형
- 데101형
- 텐1형 전망차 → 쿠하141형
- 쿠하131형
- 쿠하151형
- 데201형 (2단 창의 운수성 규격형 차량)
- 데211형 (데201형의 전면 관통 사양)
- 300계
- 800계
- 데1000형·데1050형 (1000계)
- 700형 (전기 기관차)
- 쿠호760형·사호760형 (호퍼 화차)
- 770형 (무개화차)
- 데야750형 (전동화물차)
- 토501형 (무개화차)
- 톰521형 (무개화차)
- 톰621형 (무개화차)
5. 운행 방식
고베 전철은 1991년 공원도시선 개업 시 무인 운전을 도입했으며, 2005년부터 전 노선에서 무인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열차 내에서 요금을 징수하지 않고 역 개찰구를 이용하는 '도시형 무인 열차'이므로, 승차 정리권 발행기나 운임함은 없다. 다만, 훈련 등으로 2인 운전을 할 경우 승무원 2명 이상이 운행하며, 이동을 위해 함께 탄 기관사나 직원이 문 개폐나 자동 방송을 보조하기도 한다. 혹한기를 제외하고 모든 차량의 문을 개폐하므로, 승강장에는 감시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무인 운전 대응 차량에는 "고베 전철 자동 방송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바퀴 회전수로 작동 구간을 산출하며, 터치 패널식으로 사과 방송이나 행선역 정차 안내 등을 수동 방송할 수 있다. 비상시에는 긴급 고지 방송을 하며, 비상 브레이크 작동 시 "비상 브레이크가 걸립니다. 주의하십시오."라는 자동 방송이 나온다. 6000계·6500계는 자동 방송 장치와 차량 정보를 한 모니터로 표시하고, 행선막과 차내 액정 모니터 표시도 제어할 수 있다.
무인 운전 차량 중 문 상부에 적외선 센서가 부착된 차량은 문 끼임 여부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 장비 차량(4량 편성 전체, 3량 편성 일부)에서는 출발 시 기관사가 "센서 양호"라고 외친다.
연선의 슈퍼마켓, 수영 학교, 병원 등의 광고 방송도 이루어진다.
5. 1. 열차 종별
고베 전철에서는 2022년 3월 현재 다음과 같은 열차 종별이 설정되어 있다.- 특급쾌속 - 고베고속선·아리마선(아리마구치-아리마온센 간 제외)·미타선
- 급행 - 고베고속선·아리마선(아리마구치-아리마온센 간 제외)·미타선
- 준급 - 고베고속선·아리마선·미타선·아오세선
- 보통 - 고베고속선·아리마선·미타선·아오세선·고엔토시선 (전 노선)
이 외에 폐지된 종별로는 통근급행(고베고속선·아리마선·미타선, 1984년 10월 폐지), 특급(고베고속선·아리마선·미타선, 1998년 3월 폐지)[44], 쾌속(고베고속선·아리마선(미나토가와-스즈란다이 간)·아오세선, 2020년 3월 폐지)[45]가 있었다.
5. 2. 1인 승무 (원맨 운전)
고베 전철은 전 노선에서 1인 승무(원맨 운전)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열차 내에서 요금을 징수하지 않고 역의 개찰구를 이용하는 '도시형 원맨 열차'이기 때문에, 열차 내에 운임함은 없다.[65]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되는 5량 편성 열차는 증결 차량이 1인 승무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기관사 2명이 승차하여 2인 승무 운행을 한다.[65] 또한, 극히 일부 1인 승무로 개조되지 않은 4량 편성 열차의 경우에도 기관사 2명 이상이 운행한다.[65] 드물게 이동을 위해 함께 탄 기관사나 관계자가 문 취급이나 자동 방송을 보충하는 방송을 하는 경우가 있다.[65]1인 승무 대응 차량에는 고베 전철 자동 방송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65] 이 장치는 자동 방송 기능과 정차 위치 어긋남 방지 기능의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65] 구간은 차바퀴의 회전수로부터 산출하며, 터치 패널식으로 사과 방송이나 어긋난 역에서의 당분간 정차하는 내용 등을 수동으로 자동 방송할 수 있다.[65] 하지만, 그 방송을 할지 여부는 기관사에 따라 다르며, 장시간 정차나 환승 안내, 긴급 시에는 육성 방송을 하는 기관사도 있다.[65] 비상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는 "비상 브레이크가 걸립니다, 주의해 주세요."라는 자동 방송이 완전 자동으로 나온다.[65] 6000계 전철에 탑재된 자동 방송 장치는 1개의 모니터로 자동 방송 장치나 차량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방향막이나 객실 내 액정 모니터의 표시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65]
1인 승무 차량 중 4량 편성 차량은 문 상부에 적외선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문에 일정 크기 이상의 물체가 끼어 있는지 감지한다.[65] 또한, 동절기를 제외하고 상시 모든 차량의 문을 취급하기 때문에, 승강장에는 각 차량의 승강 상황을 비추는 감시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65]
5. 3. 휴대전화 전원 차단 차량
고베전철에서는 휴대전화 전원을 종일 꺼야 하는 ‘휴대전화 전원 차단 차량’을 운영한 적이 있다. 2003년(헤이세이 15년) 7월 11일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한 것으로, 오사카메트로 사카이스지선이나 한큐 전철, 노세 전철에서도 도입된 바 있다.[46] 고베전철에서는 차내 자동 방송 등으로 안내를 했지만, 2014년(헤이세이 26년) 7월 15일에 휴대전화 전원 차단 차량을 폐지하고, 이후로는 “우선석 주변에서는 혼잡 시 전원을 끄십시오”라고 하고 있다.[47]6. 운임
고베 전철의 운임은 2023년 4월 1일 기준으로, 철도역 배리어프리 요금 10엔이 포함되어 있다.[48][49] 운임은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자세한 내용은 '일반 여객 운임'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나가타·마루야마 양 역에서 미나토가와 역을 경유하여 고베 고속선 각 역 및 한신 고베 산노미야역까지, 또는 히요이 고에 역 이북의 고베 전철 각 역에서 미나토가와 역을 경유하여 고베 고속선 신카이치역까지 이동하는 경우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호쿠신 급행 전철이 운영했던 호쿠신선을 경유하는 경우에도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으나, 2020년 6월 1일 호쿠신선의 고베 시영 지하철로의 이관과 함께 폐지되었다.[50]
고베 전철은 험준한 산악 노선이 많고, 특수한 기능을 가진 차량을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운임이 비싼 편이다. 특히 산노미야 역를 중심으로 한 고베 시내 중심부에는 고베 고속 철도의 초등 요금이 추가되어 더욱 비싸지며, 단거리 구간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 때문에 고베 시내 마루야마, 히요이 고에 지역에서는 고베 시 버스에, 아오 선 연선이나 인구 급증 지역인 고엔도시 선 연선에서는 신키 버스에 승객을 빼앗기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아오 선의 경우, 연선 지역의 자동차 이용 증가로 인해 2006년과 2007년에는 연간 12.7억엔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2007년까지 10년간 누적 적자가 102억엔에 달한다.[52]
전 역에서 PiTaPa와 서일본여객철도(JR서일본)의 ICOCA를 포함한 전국 상호 이용이 가능한 IC 카드(Kitaca, Suica, PASMO, manaca, TOICA, nimoca, 하야카켄, SUGOCA)를 이용할 수 있다.[26] 2017년 4월 15일부터 고베 전철에서 "ICOCA"와 "ICOCA 정기권" 판매를 시작했다.
2024년 4월 30일을 기하여, 신체·지적 장애인용 특별 할인 정기권을 제외한 모든 정기권 발매를 종료했다. 대신, PiTaPa와 ICOCA를 이용한 고베 전철선 내 이용에 대해 포인트 환원 서비스를 시작했다.[56]
장애인 할인은 다음과 같다.
대상 | 종류 | 구분 | 조건 | 거리 | 일반 승차권 | 정기권 | 회수권 | |
---|---|---|---|---|---|---|---|---|
장애인등록증 발달장애인등록증 소지자 | 1종 | 성인 | 단독 | 101km 이상 | 50% 할인 | - | ||
간병인 동반 | 본인 | 무제한 | 50% 할인 | |||||
간병인 | ||||||||
아동 | 단독 | 101km 이상 | - | |||||
간병인 동반 | 초등학생 | 무제한 | 50% 할인 | 무료 | ||||
유아 | 무료 | |||||||
간병인 | 50% 할인 | |||||||
2종 | 성인 | 단독 | 101km 이상 | 50% 할인 | - | |||
아동 | ||||||||
아동 | ||||||||
간병인 동반 | 초등학생 | 무제한 | - | 무료 | ||||
유아 | 무료 | |||||||
간병인 | 50% 할인 |
6. 1. 일반 여객 운임
大人普通旅客運賃일본어(어린이는 반액). 2023년 4월 1일 개정[48][49].거리(km) | 운임(엔) | 거리(km) | 운임(엔) |
---|---|---|---|
초기 2km | 190 | 24 - 26 | 610 |
3 - 4 | 250 | 27 - 29 | 630 |
5 - 6 | 310 | 30 - 32 | 650 |
7 - 8 | 360 | 33 - 36 | 680 |
9 - 10 | 410 | 37 - 40 | 700 |
11 - 12 | 430 | 41 - 44 | 720 |
13 - 14 | 470 | 45 - 48 | 740 |
15 - 17 | 510 | 49 - 54 | 760 |
18 - 20 | 540 | 55 - 58 | 790 |
21 - 23 | 580 |
- 고베 고속선 미나토가와 역 - 신카이치역 구간은 130엔이다.
다음 구간은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 합산액에서 성인 20엔, 어린이 10엔 할인
- * 나가타·마루야마 양 역과 미나토가와 역 경유 고베 고속선 각 역 및 한신 고베 산노미야역 간.
- 합산액에서 성인 10엔, 어린이 5엔 할인
- * 히요도리코에 역 이북 고베 전철 각 역과 미나토가와 역 경유 고베 고속선 신카이치역 간.
호쿠신 급행 전철 운영 호쿠신선 경유 시 환승 할인은 2020년 6월 1일 고베 시 교통국 이관으로 폐지되었다.[50]
고베 전철은 험준한 산악 노선, 특수 차량 운행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 운임에 반영된다. 산노미야 역 중심 고베 시내에는 고베 고속 철도 초등 요금이 추가되어 운임이 비싸다. 단거리 구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고베 시내 마루야마·히요도리코에 역 지역은 고베 시 버스, 아오 선 연선, 인구 급증 고엔도시 선 연선은 신키 버스에 승객을 빼앗긴다. 아오 선은 자동차 이용 증가로 2006, 2007년 연간 12.7억엔 적자, 2007년까지 10년간 누적 102억엔 적자다.[52]
2023년 4월 1일부터 철도역 배리어프리 요금으로 일반 운임 10엔 추가(고베 고속선 제외).[49] 2025년 1월부터 고베 고속선 신카이치역- 미나토가와 역 구간도 징수 예정.[53]
6. 2. 환승 할인
다음 구간의 운임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합산액에서 성인 20엔, 어린이 10엔 할인
- 나가타, 마루야마 양 역과 미나토가와를 경유하여 고베 고속선 각 역 및 한신 고베 산노미야역 간.
- 합산액에서 성인 10엔, 어린이 5엔 할인
- 히요이 고에 역 이북의 고베 전철 각 역과 미나토가와를 경유하여 고베 고속선 신카이치역 간.
호쿠신 급행 전철이 운영했던 호쿠신선을 경유하는 경우에도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으나, 2020년 6월 1일 호쿠신선의 고베 시영 지하철로의 이관과 함께 폐지되었다.[50]
6. 3. IC 카드 이용
전 역에서 PiTaPa와 서일본여객철도(JR서일본)의 ICOCA 등 전국 상호 이용이 가능한 IC 카드(Kitaca, Suica, PASMO, manaca, TOICA, nimoca, 하야카켄, SUGOCA)를 이용할 수 있다.[26]ICOCA 등 PiTaPa 이외의 IC 카드 충전(チャージ)은 2008년 8월 당시까지 충전 가능한 자동 매표기와 정산기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지원이 늦었다. 따라서 PiTaPa 이외의 IC 카드(ICOCA 등)로 고베 전철을 이용하는 경우(특히 무인역에서 하차하는 경우) 잔액에 주의해야 했다. 같은 해 10월에 이러한 자동 정산기는 IC 카드 충전, 선불(プリペイド) 이용 내역, 후불(ポストペイ) 이용 실적을 조회할 수 있는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2019년 5월 현재 자동 매표기에서 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IC 카드는 PiTaPa와 ICOCA뿐이며, 다른 IC 카드로 역 구내 출구를 통과한 후 선불 이용 내역 조회 및 출력을 하려면 유인역에서는 직원에게 신청하고, 무인역에서는 인터폰으로 관할역에 연락하여 역 구내에 재입장해야 한다. 또한, 고베 전철 공식 홈페이지에는 그러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2017년 4월 15일부터 고베 전철에서 선불식 IC 승차 카드 "ICOCA"와 "ICOCA 정기권"(타 회사와의 연락 정기권 포함) 판매(카드 발행은 JR서일본)를 시작했다. 단, ICOCA 카드는 매표기에서 판매하지 않고 정기권 판매처에서만 판매한다(한신식 매표기가 설치된 신카이치역에서는 구매 가능).
7. 경영
고베 전철은 영업이익 18억 엔 이상, 당기순이익 8억 엔 이상, 차입금 잔액 550억 엔 이하, 자기자본비율 25% 이상을 목표로 경영하고 있다.[57][58]
1979년부터 2004년까지의 여객 수송 인원, 1일 1km 평균 통과 인원, 철도업 영업 수입 및 영업비는 다음 표와 같다.[57][58]
연도 | 여객 수송 인원 (천 명) | 1일 1km 평균 통과 인원 (명) | 철도업 영업 수입 (천 엔) | 철도업 영업비 (천 엔) |
---|---|---|---|---|
1979 | 58,738 | 7,432,003 | 6,361,530 | |
1982 | 59,168 | 29,581 | 8,589,596 | 7,291,504 |
1984 | 59,340 | 29,921 | 9,670,918 | 7,377,910 |
1985 | 59,079 | 29,751 | 9,897,470 | 7,763,856 |
1986 | 59,749 | 30,080 | 10,286,003 | 8,010,848 |
1987 | 59,506 | 29,760 | 10,530,194 | 8,379,034 |
1988 | 66,499 | 29,604 | 10,746,260 | 9,047,322 |
1989 | 67,059 | 29,682 | 10,867,865 | 9,659,275 |
1990 | 68,447 | 30,257 | 11,565,504 | 9,780,918 |
1991 | 69,303 | 30,052 | 12,810,089 | 10,831,208 |
1992 | 71,023 | 30,242 | 13,243,272 | 11,041,989 |
1993 | 70,733 | 30,272 | 13,335,233 | 11,223,193 |
1994 | 66,137 | 30,194 | 12,911,629 | 11,619,439 |
1995 | 62,523 | 29,321 | 12,413,922 | 11,484,392 |
1996 | 68,505 | 27,887 | 15,140,841 | 12,147,977 |
1997 | 64,384 | 29,102 | 14,166,032 | 12,203,047 |
1998 | 61,449 | 27,707 | 13,449,656 | 12,114,305 |
1999 | 59,086 | 23,742 | 12,872,590 | 12,012,586 |
2000 | 57,415 | 23,178 | 12,553,634 | 11,438,102 |
2001 | 55,046 | 22,173 | 12,055,088 | 10,672,890 |
2002 | 52,642 | 21,245 | 11,511,170 | 9,640,882 |
2003 | 51,069 | 20,572 | 11,198,065 | 9,552,289 |
2004 | 46,589 | 19,960 | 10,859,053 | 9,505,898 |
2018년부터 현재까지의 여객 수송 인원, 철도업 영업 수입 및 영업비는 다음 표와 같다.[59]
연도 | 여객 수송 인원 (천 명) | 철도업 영업 수입 (백만 엔) | 철도업 영업비 (백만 엔) |
---|---|---|---|
2018 | 58,289 | 9,447 | 8,529 |
2019 | 58,028 | 9,314 | 8,589 |
2020 | 46,882 | 7,910 | 8,609 |
2021 | 48,669 | 8,397 | 8,531 |
2022 | 52,423 | 9,190 | 9,034 |
아와세선의 경우, 일본국, 효고현, 고베시, 미키시, 오노시의 행정 지원이 영업이익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아와세선의 적자는 전체 노선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도 | 아와세선 | 전체 노선 | ||
---|---|---|---|---|
운임 수입 (백만 엔) | 영업이익 (백만 엔) | 운임 수입 (백만 엔) | 영업이익 (백만 엔) | |
2008 | 2,084 | △1,272 | 9,773 | △274 |
2009 | 1,991 | △1,274 | 9,416 | △522 |
2010 | 1,941 | △1,227 | 9,340 | △375 |
2011 | 1,909 | △1,197 | 9,252 | △370 |
2012 | 1,868 | △976 | 9,116 | △39 |
7. 1. 경영 규모
초기에는 철도 사업 경영 규모 구분이 중소 사철이었으나[6], 1970년대부터 준대형 사철로 간주되었다.[7]그 후, 계열사인 호쿠신 급행 전철의 단년도 흑자 달성을 계기로[8], 호쿠신 급행 전철을 흡수 합병하여 대형 사철에 진입하려는 계획이 세워졌다.[8] 이는 개업 8년 후로 예상했던 호쿠신 급행 전철의 흑자 전환 시점에 회사를 흡수하여[8], 수송 인원이 대형 사철 기준을 충족하도록 한다는 계획이었으며, 관련 각서도 체결되었다.[9] 1990년대 고베전철 각 부서 명의로 작성된 공개 서적·잡지 기사 등에서는 "대형 사철이 된다", "대형 민철로의 길을 가속적으로 걷고 있다" 등 대형 사철 진입을 시사하는 내용이 나타났다.[9][10]
그러나 호쿠신 급행 전철의 경영 상태가 좋지 않았고,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고베 경제 기반 약화, 일부 노선에서 신키 버스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고베전철의 수송 인원이 감소하면서, 호쿠신 급행 전철과의 합병을 통한 대형 사철 승격은 실현되지 못했다. 오히려 2005년에는 고베전철의 규모 구분이 준대형 사철에서 중소 사철로 강등되었다.[11]
다만,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의 정의에 따르면 대기업 기준을 충족하므로, 중소 사철이지만 대기업에 해당한다.
또한, 민영 철도를 대도시 고속철도와 지방 여객철도로 분류할 경우, 고베 전철은 대도시 고속철도에 속한다.[12]
7. 2. 미라이 비전 2030
고베전철 그룹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연계·공동창조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그룹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동시에 사회 문제 해결 및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해 고베전철이 수행해야 할 역할(미션)을 새롭게 정의하고, 2030년도(레이와 12년도) 시점의 '바람직한 기업상'을 제시한 장기 경영 비전 「고베전철 그룹 '''미라이 비전 2030'''」을 2023년(레이와 5년) 5월에 발표했다.[13] 목표로 하는 '바람직한 기업상'을 '생활에 활력을 더하는 지역 공동창조 플랫폼'으로 설정하고, 생활에 활력을 더하는 시간, 물건, 서비스의 공동창조 플랫폼으로서 확고한 지위를 구축하여 지역의 지속적인 가치 향상에 기여하고 사회·경제 활동을 지탱하는 존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미라이 비전 2030'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2030년(레이와 12년)까지 8년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고, 처음 4년에 해당하는 경영 계획을 ''''중기 경영 계획 2026''''으로 책정한 것을 2023년(레이와 5년) 5월에 발표했다.[13] 코로나19 팬데믹(코로나화)으로 인해 저하된 '수익력'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동시에, '재무의 건전성'을 계속해서 착실하게 발전시키고, 외부 환경 변화(팬데믹으로 인한 생활 방식 변화 및 고비용 사회 등)에 대응하면서 그룹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여 각종 이해 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하고, 지역의 지속적인 가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3]
중점 과제로서 '새로운 시대(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한 노력', '연선 활성화를 위한 노력',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 '차입금(有利子負債) 감소를 위한 노력'을 제시하고, 고베 전철 그룹 전체의 수익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7. 3. 부동산 사업
고베 전철은 1928년(쇼와 3년) 고부 경영지(현재의 스즈란다이)의 단독주택용지 분양을 시작으로 부동산 사업을 시작했다.[61] 1956년(쇼와 31년) 이후 목조주택 부문에 본격 진출, 1989년(헤이세이 원년)에는 "신철 스테이타스 시리즈"라는 히트 상품을 개발하여 주력 사업으로 성장했다. 1973년(쇼와 48년)에는 맨션 사업에도 진출하여 1996년(헤이세이 8년)부터는 "클레이시아" 브랜드로 패밀리 맨션 개발에 주력했다.[61]1959년(쇼와 34년) 아사히가오카를 시작으로 대규모 택지 개발을 진행, 신철 기타스즈란다이 뉴타운(2,725구획) 등 수백~수천 구획 규모의 택지를 잇달아 개발했다. 계열사인 아리마 흥업(현재: 아리마 뷰 호텔)도 택지 개발을 했지만, 고베 전철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주로 한큐 철도 노선 주변에서 분양했다.
소규모 택지 개발, 건설, 빌딩 관리 부문은 1972년(쇼와 47년) 신철 부동산(이후 신철 건설, 현재 신철 커뮤니티 서비스)으로 분사되었다. 신철 엔터프라이즈도 부동산 사업에 참여했으나, 현재는 유통 사업, 주차장 경영, 건설 자재 취급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1986년(쇼와 61년) 이후 주택 및 중개 부문은 신철 비즈니스 서포트(현재: 신철 주택 판매)로 분사되었으나, 2000년(헤이세이 12년) 직영으로 전환되었다. 2024년(레이와 6년) 현재는 소규모 단독주택용지 개발을 주로 하며, 철도 노선 외 지역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고베 전철 및 계열사가 분양한 주요 주택지는 다음과 같다.
주택지명 | 분양년도 | 비고 |
---|---|---|
소부 경영지(小部経営地) | 1928년 | |
오이케야마소 주택지(大池山荘住宅地) | 1933년 | |
로코가와온센 주택지(六甲川温泉住宅地) | 1937년 | |
이마쿠사엔 주택지(今草園住宅地) | 1942년 | |
오시베다니 주택지(押部谷住宅地) | 1943년 | |
사카에 주택지(栄住宅地) | 1945년 | |
히로노 주택 경영지(広野住宅経営地) | 1949년 | |
스즈란다이 니시구치 주택지(鈴蘭台西口住宅地) | 1956년 | |
아사히가오카(旭が丘) | 1959년 | |
사쿠라가오카(桜が丘) | 1960년 | |
카스미가오카(霞が丘) | 1961년 | |
유리가오카(百合が丘) | 1963년 | |
마츠노미야 주택지(松の宮住宅地) | 1963년 | |
산쇼가하라 주택지(山椒ヶ原住宅地) | 1963년 | |
마츠노미야 미나미 주택지(松の宮南住宅地) | 1964년 | |
오이케 주택지(大池住宅地) | 1964년 | |
소지지 주택지(総持寺住宅地) | 1964년 | |
히가시야마 주택지(東山住宅地) | 1965년 | |
케이 주택지(桂住宅地) | 1965년 | |
하나야마 주택지(花山住宅地) | 1965년 | |
카미사토 주택지(上里住宅地) | 1965년 | |
로코가오카(六甲が丘) | 1966년 | |
우에노 주택지(上野住宅地) | 1966년 | |
히가시노미야 주택지(東の宮住宅地) | 1967년 | |
와카조노 주택지(若園住宅地) | 1968년 | |
나카야마 주택지(中山住宅地) | 1969년 | |
미노오 히가시야마 주택지(箕面東山住宅地) | 1969년 | |
미야다 주택지(宮田住宅地) | 1969년 | |
키타스즈란다이(北鈴蘭台) | 1970년 | |
타다모토마치 주택지(田原本町住宅地) | 1970년 | |
사카에마치 주택지(栄町住宅地) | 1970년 | |
오오쿠보 주택지(大久保住宅地) | 1971년 | |
카라하시다이(唐櫃台) | 1974년 | |
신미야다 주택지(新宮田住宅地) | 1974년 | |
신미노오 주택지(新箕面住宅地) | 1980년 | |
카라하시 주택지(唐櫃住宅地) | 1980년 | |
신카라하시 주택지(新唐櫃住宅地) | 1981년 | |
키타스즈란다이 제3차(北鈴蘭台|北鈴蘭台第三次) | 1982년 | |
고베 키타마치(神戸北町) | 1989년 | |
로코 히바리가오카(六甲ひばりが丘) | 1996년 | |
마츠미야다이(北鈴蘭台|松宮台) | 2003년 | |
미나미고요(南五葉) | ||
마츠가에다마치(松が枝町) | ||
파크힐 고베(パークヒル神戸) | ||
소야마마치(惣山町) | ||
카노코다이(鹿の子台) | ||
다니가미 미나미마치(谷上南町) | ||
로열시티 후지가오카(ロイヤルシティ富士が丘) | 2011년 |
1971년(쇼와 46년) "니시스즈 신테쓰 빌딩" 준공을 시작으로 효고현 남부에서 건물 및 임대 시설 운영을 하고 있으며, 현재 임대 면적은 약 32000m2이다.
임대 시설명 | 운영 시작 | 운영 종료 | 비고 |
---|---|---|---|
아리마 신테쓰 빌딩 (有馬神鉄ビル) | 1928년 | 1989년 | |
니시스즈 신테쓰 빌딩 (西鈴神鉄ビル) | 1971년 | ||
스즈란다이 신테쓰 빌딩 (鈴蘭台北神鉄ビル) | 1972년 | 2023년 | "스즈란다이 플라자"라고도 불림 |
스즈란다이 신테쓰 빌딩 (鈴蘭台神鉄ビル) | 1973년 | 2018년 | |
니시스즈 이치방칸 (西鈴壱番館) | 1973년 | ||
키타스즈 신테쓰 빌딩 (北鈴神鉄ビル) | 1974년 | ||
신테쓰 빌딩 (神鉄ビル) | 1975년 | ||
미도리가오카 에키마에 점포 (緑が丘駅前店舗) | 1977년 | 개업 당시 "미도리가오카 에키마에 2층 건물 임대 점포"라고 불림 | |
키타스즈 신테쓰 에키빌 (北鈴神鉄駅ビル) | 1981년 | ||
키타스즈 신테쓰 에키마에 빌딩 (北鈴神鉄駅前ビル) | 1983년 | ||
스즈란다이 니시구치 신테쓰 빌딩 (鈴蘭台西口神鉄ビル) | 1984년 | ||
니시스즈 니방칸 (西鈴二番館) | 1986년 | 1991년 "니시스즈 신테쓰 고쿠리츠가쿠인 빌딩"에서 개칭 | |
키타스즈 이치방칸 (北鈴一番館) | 1986년 | 1992년 "키타스즈 신테쓰 고쿠리츠가쿠인 빌딩"에서 개칭 | |
미도리가오카 신테쓰 빌딩 (緑が丘神鉄ビル) | 1986년 | 1992년 "미도리가오카 신테쓰 고쿠리츠가쿠인 빌딩"에서 개칭 | |
스즈란다이 니시마치 신테쓰 빌딩 (鈴蘭台西町神鉄ビル) | 1987년 | ||
SH 빌딩 (SHビル) | 1988년 | "S・H 빌딩"이라고도 불림 | |
아리마 크리스탈 빌딩 (有馬クリスタルビル) | 1989년 | ||
신테쓰 본사 빌딩 (神鉄本社ビル) | 1990년 | 2004년 "신테쓰 건설 빌딩"에서 개칭 | |
베라주르 키타스즈란다이 (ベラジュール北鈴蘭台) | 1990년 | ||
플라워타운 에키빌 (フラワータウン駅ビル) | 1991년 | ||
오노 신테쓰 빌딩 (小野神鉄ビル) | 1992년 | 1991년 부분 개업 | |
우디타운 추오 에키빌 (ウッディタウン中央駅ビル) | 1996년 | 최근에는 "우디타운 추오 에키 점포"라고 자주 불림 | |
오카바 에키 북측 고가하 점포 (岡場駅北側高架下店舗) | 1996년 | ||
타오지 에키빌 (田尾寺駅ビル) | 1998년 | 최근에는 "타오지 에키 점포"라고 자주 불림 | |
오카바 에키 남측 고가하 점포 (岡場駅南側高架下店舗) | 2005년 | ||
벨스트 스즈란다이 (ベルスト鈴蘭台) | 2018년 | ||
고베 전철 이바라키 임대 시설 (神戸電鉄茨木賃貸物件) | 2023년 | 임대 사업 확장을 위해 타사로부터 매입 |
2023년(레이와 5년) 5월, 고베 전철은 '미래 비전 2030' 달성을 위한 '중기 경영 계획 2026'을 발표했다.[13] 이 계획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저하된 수익력을 회복하고 재무 건전성을 발전시키며,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중점 과제로 '새로운 시대에 대응한 노력', '연선 활성화를 위한 노력',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 '차입금 감소를 위한 노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부동산 사업의 수익성 강화 및 지역 사회 발전에 대한 기여를 통해 수익 구조를 구축하고자 한다.
7. 4. 기타 사업
고베 전철은 철도 및 부동산 사업 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62][63]노선 부지를 활용하여 발전 사업 및 전력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고베전철 제2차고에 있는 "고베전철 미쓰 태양광 발전소"와 "고베전철 사카에 태양광 발전소"에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요양 서비스, 보육 서비스, 수영 교실 사업도 운영하고 있으며,[62][63] 계간 정보지 "수즈란(SUZURAN)"을 발행하고 있다.
고베시 기타구와 고베시 히가시나다구에서 수영 학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63] 자세한 내용은 신철 수영 학교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고베시 기타구, 미키시, 산다시, 오노시에서 보육 서비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63]
시설명 | 개원일 |
---|---|
타니가미 보육원 (타니가미 SH빌딩 내) | 2005년 8월 1일 |
요코야마 보육원 | 2003년 10월 1일 |
신테츠 오카바원 (오카바역 고가 아래) | 2014년 4월 1일 |
신테츠 미도리가오카 보육원 | 2002년 8월 5일 |
오노코 클럽 (오노역 빌딩 내) | 2006년 4월 2일 |
히마와리 클럽 (오노역 빌딩 내) | 2013년 4월 2일 |
고베시와 산다시에서 요양 서비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63]
- 고베전철 케어 서비스 센터
- 고베전철 케어 서비스 센터 산다
과거에는 고베전철 케어 서비스 센터 미나토가와를 운영했으나 2004년에 영업을 종료했다.
2023년 5월, 고베 전철은 '미래 비전 2030' 달성을 위한 '중기 경영 계획 2026'을 발표했다.[13]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수익성 회복과 재무 건전성 확보, 외부 환경 변화 대응을 목표로 하고 있다.[13] 이를 위해 철도 및 부동산 사업 강화, 지역 활성화, 신규 투자, 이해관계자 환원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7. 5. 과거 사업
1998년 9월 30일에 신철버스로 버스 사업을 이관했다.[13] 이전에는 직영으로 운영했다. 도심 지역에 '라피네(ラフィネ)'라는 이름의 휴식 공간을 운영했다. 휴대전화 판매점은 「모바일 퍼스트(モバイルファースト)」라는 이름으로 운영했다. 세이덴샤(星電社)와 제휴하여 "신테츠・세이덴 사운드 익스프레스(神鉄・せいでん Sound Express)"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전개했으나, 현재는 신철 엔터프라이즈(神鉄エンタープライズ)로 이관되었다. 고베 전철(神鉄) 연선에는 「신철주택서비스숍(神鉄住宅サービスショップ)」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소를 운영하고 있었다.8. 계열사
- 주식회사 아리마 온천 기업(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 주식회사 아리마 뷰 호텔(효고현 고베시 기타구)
- 오사카 신테쓰 도요나카 택시 주식회사(오사카부 오사카시 요도가와구)
- 주식회사 신테쓰 엔터프라이즈(효고현 고베시 기타구) - 고베 전철 연선에서 슈퍼 「신테쓰 식채관」을 운영
- 신테쓰 관광 주식회사(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 주식회사 신테쓰 커뮤니티 서비스(효고현 고베시 기타구)
- 신테쓰 택시 주식회사
- 신테쓰 버스 주식회사
- 주식회사 신테쓰 비즈니스 서포트(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 신테쓰 효고 골프 주식회사(효고현 고베시 기타구)
- 호쿠신 급행 전철 주식회사 - 2007년 9월에 자본 관계는 종료되었으나, 다니가미역의 플랫폼을 공유하는 등 시설 운용면에서의 관계는 계속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한큐 한신 홀딩스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만 남아있다.
9. 사회 공헌
고베 전철은 사회 공헌 활동을 명시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Kobe Electric Railway to introduce new 6500 series from spring 2016, built by Kawasaki Heavy Industries to replace 1000 series
http://news.mynavi.j[...]
Mynavi Corporation
2015-06-09
[2]
웹사이트
役員一覧 - 神戸電鉄株式会社
https://www.shintets[...]
[3]
보고서
第148期(2022年4月1日 - 2023年3月31日)有価証券報告書
2022-06-15
[4]
문서
神戸電鉄株式会社 定款 第1章第1条
[5]
서적
山田郷土誌 第2篇
[6]
학술지
神戸電気鉄道のATS
信号保安協会
1974-08-01
[7]
학술지
神戸電気鉄道(9)地方鉄道
交通協力会
1982-10-01
[8]
학술지
情報アングル・儲かりまっか!の再開発II
プリントワン
1988-06-10
[9]
잡지
総説:神戸電鉄
鉄道図書刊行会
1990-05-01
[10]
학술지
神戸高速線、有馬線、三田線、粟生線の沿線ご紹介
日本地下鉄協会
1990-05-01
[11]
서적
数字で見る鉄道
財団法人運輸政策機構
[12]
웹사이트
国土交通省・地方民鉄の課題と現状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10-24
[13]
웹사이트
神戸電鉄グループ長期経営ビジョン「神鉄グループみらいビジョン 2030」および「中期経営計画 2026」(2023~2026 年度)の策定について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3-05-15
[14]
디지털자료
鉄道免許状下付
1923-06-21
[15]
디지털자료
鉄道省鉄道統計資料. 大正13年度
[16]
웹사이트
1926〜1964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17]
디지털자료
地方鉄道運輸開始
1928-12-08
[18]
디지털자료
地方鉄道運輸開始
1928-12-26
[19]
디지털자료
鉄道敷設権譲渡許可
1936-11-14
[20]
웹사이트
1965〜1979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1]
웹사이트
1980〜1988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2]
웹사이트
1989〜1998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3]
뉴스
山陽電鉄など3社 来月1日から全駅終日禁煙
交通新聞社
1994-11-14
[24]
뉴스
被災地の鉄道この1年
交通新聞社
1996-01-17
[25]
잡지
RAILWAY TOPICS - 神戸電鉄 制服に新素材を使用してデザイン一新
鉄道ジャーナル社
2001-04-01
[26]
보도자료
2015年3月3日(火)、交通系ICカードの全国相互利用サービスへの対応を開始します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北神急行電鉄
2015-01-27
[27]
보도자료
ICカード乗車券を活用した連携サービスの拡大について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他
2015-11-26
[28]
보도자료
ICOCAおよびICOCA定期券の発売開始日について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
2017-02-03
[29]
보도자료
IC定期券サービスの拡充について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
2017-02-03
[30]
뉴스
神戸電鉄駅舎に延焼=沿線建物火災で-兵庫・三木
https://www.jiji.com[...]
2018-03-04
[31]
뉴스
神鉄三木駅、駅舎全焼 本数減らし運転再開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18-03-05
[32]
보도자료
取締役・監査役・部長人事について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経営企画部
2020-05-13
[33]
뉴스
「北神線」記念ヘッドマーク付け引き継ぎ式 北神急行が神戸市営化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20-06-01
[34]
보도자료
神戸市と神戸電鉄との連携協定の締結~沿線のリノベーションプロジェクト~
https://www.city.kob[...]
神戸市・神戸電鉄
2020-11-30
[35]
웹사이트
神戸電鉄粟生線三木駅の再生 - 三木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mik[...]
[36]
논문
神戸電鉄と社章の変遷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23-11-19
[37]
논문
紋章の由来
日本地下鉄協会
1986-05
[38]
논문
神戸電鉄と社章の変遷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23-11-19
[39]
간행물
関西経済連合会
1990-06
[40]
서적
大阪・神戸・京都・福岡の私鉄
小学館
1993-11-20
[41]
보도자료
〜すべてのお客さまに、より分かりやすいご案内を〜 全駅に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
2014-03-03
[42]
웹사이트
神戸電鉄、4月から駅ナンバリング導入へ
https://response.jp/[...]
2022-02-10
[43]
문서
데1320형 중간 전동차보다 선두차 개조된 1370형에 있어서는, 형식 기호는 생략되었다.
[44]
서적
日本鉄道旅行歴史地図帳
新潮社
[45]
보도자료
ダイヤ改正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0-02-06
[46]
보도자료
列車内における携帯電話の取り扱いを変更します
http://holdings.hank[...]
阪急電鉄
2014-06-25
[47]
보도자료
優先座席付近での携帯電話使用マナーを「混雑時には電源をお切りください」に変更します
http://holdings.hank[...]
関西鉄道協会、西日本旅客鉄道
2014-06-25
[48]
웹사이트
鉄道駅バリアフリー料金適用後の運賃について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3-03-31
[49]
보도자료
「鉄道駅バリアフリー料金制度」を活用し、円滑な移動の実現に取り組みます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3-03-31
[50]
웹사이트
旅客営業補則の変更について(2020年6月1日から適用)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3-11-19
[51]
서적
乗って残したい・・・赤字ローカル線は今?II
インフォレスト
2011
[52]
간행물
神戸電鉄「おでかけガイド」
2008-08
[53]
보도자료
鉄道駅バリアフリー料金制度を活用することで神戸高速線各駅へのホームドア等の整備を推進します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4-05-08
[54]
보도자료
「奈良・斑鳩1dayチケット」の発売について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
2017-10-30
[55]
보도자료
「せんとくん平城京1日電車乗車券」の発売について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
2017-10-30
[56]
보도자료
回数券の発売終了とICOCA によるポイントサービスの開始について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4-05-08
[57]
서적
世界の鉄道
朝日新聞社
[58]
서적
年鑑日本の鉄道
鉄道ジャーナル社
[59]
웹사이트
IR情報/有価証券報告書・四半期報告書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3-11-19
[60]
간행물
神戸電気鉄道総説
鉄道図書刊行会
1976-11
[61]
간행물
神戸電気鉄道総説
鉄道図書刊行会
1976-11
[62]
웹사이트
生活・サービス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3-11-19
[63]
보고서
神戸電鉄グループ 統合報告書2023
2023-10-24
[64]
문서
국토교통성 감수 「숫자로 보는 철도」(재단법인 운수 정책 연구 기구)의 2005년판에서는 중소 민영 철도로 분류되고 있다.
[65]
문서
2명으로 1인 승무 열차에 승차하고 있을 때는 기관사가 좌측의 문을, 함께 승차한 관계자는 우측의 문을 개폐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